본문 바로가기
직장인 커리어 쌓기

이직꿀팁#1 퇴사 전 회사에서 꼭 받아둬야 하는 서류 체크리스트

by 지자스 2023. 11. 12.

 

오늘은 퇴사하기 전에 전 직장에서 꼭 챙겨야 하는 것을 정리해 볼게요.

 

물론 퇴사하고 나서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겠지만,

이미 나온 직장 인사팀에 다시 연락해서 요청하기는 번거롭잖아요?

 

미리 챙겨두시면 여러모로 편리한 것들과 발급 방법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 

퇴사하기 전 준비해야 하는 서류 체크리스트

 

 

 

1. 재직증명서 / 경력증명서

 

다음 회사로 이직을 할 때 꼭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, 재직증명서와 경력증명서인데요.

재직 중에 요청할 때는 #재직증명서 가 발급되고, 퇴사 후 요청할 때는 #경력증명서 가 발급되는 것 같아요.

 

가장 간편하게 발급하는 방법은 해당 회사 인사팀에 요청하는 것이랍니다.

그래서 추후 경력증명서 발급을 위해, 퇴사 전 인사팀 담당자 메일 주소를 미리 알아두면 좋아요!

 

찾아보니 경력증명서 대신 국민연금 가입증명서를 발부받아도 된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?

하지만 저는 이 방법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..!😥

 

경력증명서에는 일반적으로 근무 부서 / 직급 정보 / 회사 도장 날인이 들어가는 것에 비해,

4대보험 증명서에는 이러한 내용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경력을 인정받기 쉽진 않아요.

 

실제로 저의 국민연금 가입증명서, 즉 4대보험 증명서에는 아래와 같이 나와 있어요.

 

국민연금 가입증명서

 

 

내가 어떤 부서에서 어떤 직급으로 경력을 쌓아 왔는지 드러나지가 않아요.

그렇기 때문에 다음 회사에 어필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, 꼭 재직증명서/경력증명서를 발부받으시기를 추천드려요.

 

 

 

2. 급여명세서

 

급여명세서는 이직 시 #연봉협상 에 있어서도 꼭 필요한 서류라는 사실!

 

연봉 협상을 할 때는 최근 3개월 간의 급여명세서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지만,

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직전 1년치의 명세서를 모두 받아두시는게 좋아요.

 

저의 이전 직장은 연봉을 13분할로 해서 1/13은 설과 추석 상여로 반씩 나눠 지급했어요.

(즉 떡값이 어차피 내 연봉에 포함된 금액이었기에, 매달 받는 월급은 일반적인 12분할 금액보다 적었어요.)

 

따라서 저는 이번에 이직할 때 모든 원천징수 금액을 인정받기 위해, 직전 1년치의 급여명세서를 모두 제출했어요.

 

이 외에도, 내 급여에서 세금이 어떻게 나가고 있는지 기록하고 체크하는 것은 좋은 습관이니까,

인사팀이나 e-HR 시스템을 통해 미리 다운받아 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.

 

 

 

3.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

마지막으로 꼭 챙겨둬야 하는 서류는 원천징수영수증이에요.

이건 각자 재직 중인 회사에 요청해도 되지만, 국세청 사이트에서도 셀프 발급이 가능해요.

(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한번 더 다뤄보도록 할게요.)

 

이직 시 일반적으로 직전년도에 귀속된 원천징수영수증 제출을 요청받아요.

또 이건 은행에서 대출을 받거나 연말정산을 할 때 꼭 필요한 서류이기 때문에 필요 시 받아두면 좋아요.

 

 

 

아마 퇴사를 준비하느라 이것저것 바쁘고 정신없으시겠지만,

위의 3개 서류는 꼭 미리 준비해두시면 나중에 편리하답니다.😊

 

발급받는 방법도 생각보다 간단하니, 5분만 투자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?